관리 메뉴

Unwound Developer

유니티 - 2D 런 게임, 스프라이트 본문

Unity/Unity, C#

유니티 - 2D 런 게임, 스프라이트

unwind 2022. 1. 11. 15:09
반응형

지금 공부하고 있는 책의 첫 프로젝트 닷지가 끝났습니다.

 

너무 간단한 게임이라 이것저것 추가해보려했는데, 우선 책에 있는 프로젝트를 모두 끝내고나서

수정/추가 해보려합니다.

 

다음은 2D 런게임인데, 책에선 유니런이라고 하네요. 유니티 + 런 = 유니런인가봐요...

 

그런데, 계속 게임을 유니티 기본 오브젝트같은거로 만들 순 없잖아요.

런게임을 하는데 무색무취의 정육면체들이 막 뛰어다니는거면...

 

그래서, 책에서는 에셋들을 제공해줘요.

사운드나 이미지, 스크립트의 뼈대를 제공해줬어요.

그럼 이 제공받은 에셋들로 시작할게요.


우선 startplatform이라고, 게임을 시작하는 첫 발판을 만들어요.

아, 이번 프로젝트는 2D 프로젝트로 만들어요.

Start Platform

그리고 이 오브젝트에 2D 박스 콜라이더를 추가해요. 2D로 해야됩니다.

 

그 다음엔 데드존, 플레이어가 떨어졌을 때 죽어야하니까 만들어야해요.

빈 게임 오브젝트 생성후에 똑같이 박스콜라이더 2D를 만들어요.

이 때, isTrigger에 체크하고, 사이즈는 (50,2)로 위치는 (0,-8,0)으로 해요.

데드존 사이즈가 (50,2)밖에 안되는 이유는, 런 게임을 할때 캐릭터가 앞으로 나아가는 것 처럼 보이지만,

캐릭터는 제자리에 있고 맵이 캐릭터쪽으로 다가오는 것이에요. 다 그런것은 아니겠지만요.

그래서, 커다란 사이즈가 필요없는거에요.

 

다음은 스프라이트 에셋들인데, Run이라는 스프라이트를 보면

캐릭터가 취할 행동이 구분동작으로 나뉘어 있어요. 이걸 Inspector창에서 멀티플 스프라이트로 변경한뒤, 잘라줘야해요.

그리고나서, Sprite Editor로 들어가요.

Grid By Cell Size를 선택한뒤 Slice해줘요.

그럼 이제, 위에서 처럼 Run 스프라이트가 동작별로 잘라서 나와요.

이렇게요.

 

그리고, 맨 첫번째 동작을 드래그&드롭해서 오브젝트로 추가해요.

이걸 Player태그로 변경 해줍니다.

 

그리고 리지드바디 2D 컴포넌트를 추가하고, 다음과 같이 설정할게요.

Collision Detection은 연속으로 설정했을 때, 충돌을 더 민감하게 감지한대요.

그리고, 써클 콜라이더2D까지 추가해요.

써클 콜라이더는 모서리에 닿았을 때, 모서리를 타고 올라가도록 해준대요.

 

그리고, 오디오 소스도 컴포넌트로 추가해요. 플레이어의 행동에 따라 소리가 나야하니까요.

점프 소리를 오디오클립에 할당하고, Play on awake는 첫 실행시에 오디오가 1회 자동하는 옵션인데, 꺼야하겠죠.

 

여기까지만하고, 아까 자른 스프라이트로 애니메이션 설정하는건, 다음 글로..

반응형